본문 바로가기

정보모아/알쓸신잡 정보모아

증여세 면제 한도 알아보기! 증여세 신고방법

증여세와 상속세, 과거에는 대기업 재벌이나 부자들에게만 해당되는 세금이라 여겼지만, 이제는 일반인들도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상식이 되었죠?? 결혼하는 자녀를 위해 집을 마련해주는 경우나 가업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경우(가업승계), 가족들에게 재산을 남기고 일생을 마감하는 경우 등에서 증여와 상속이 당연히 발생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을 경우에는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미리 준비하여 불이익을 보지 않도록 해야하는건 우리의 당연한 몫입니다. 이렇게 중요해진 증여세에 대해 한 번 알아볼까요?









증여재산의 범위


재산을 이전받는 자(수장자)가 거주자인 경우에는 국내와 국외에 소재한 모든 증여 재산에 대하여 증여세를 납부해야 하고, 수증자가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국내에 소재한 모든 증여재산과 거주자로부터 증여받은 국외 예금이나 국외 적금 등에 대해서만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거주자라 함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를 둔 사람을 말하고, 비거주자는 거주자가 아닌 사람을 말합니다>





증여세는 누가 낼까?(증여세 납세의무자)


증여세의 납세의무자는 증여에 의하여 재산을 취득하는 수증자, 즉 재산을 증여받는 자입니다. (만약 아버지께 재산을 받으면 재산을 받는 아들이 내는 것입니다) 



증여세 면제한도(증여재산공제 항목)

1. 배우자로부터 증여받는 경우에는 6억원

2.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에는 5천만원(미성년는 2천만원)

3. 직계비속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에는 5천만원

4. 기타 친족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에는 1천만원


※ 직계존속의 예 :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 직계비속의 예 : 아들, 딸, 손자, 손녀


예를 들어 손주에게 세금 없이 증여하려면 다음과 같은 증여 계획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태어났을 때 2천만원 증여 방법

2. 만 10세가 되는 해에 2천만원 증여 방법

3. 만 20세가 되는 해에 5천만원 증여 방법

4. 만 30세가 되는 해에 5천만원 증여 방법 


※ 증여재산공제 한도는 10년간 합산금액이므로 10년마다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증여세 신고방법 및 신고기한은?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세 신고서를 제출하고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더불어 부동산 등을 증여받은 경우에는 취득세 등을 납부해야 하는데, 이는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방법은 증여세 신고서를 수증자의 관할 세무서에 제출합니다. 그러나 수증자가 비거주자이거나 주소·거소가 불분명하면 증여자 관할 세무서에 신고서를 꼭 제출하시고, 증여자와 수증자가 모두 비거주자이거나 주소·거소가 불분명하다면 증여재산 소재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어떠세요 생각외로 그리 어렵지 않죠? 만약 납부할 증여세가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분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여세 면제 한도를 알아보았으니 다음에는 증여세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무리 면제 한도만 알고있다고 하여서 증여세 계산법을 모르면 말짱 도루묵이겠죠? 그러면 다음 포스팅 증여세 계산법에서 뵙겠습니다!